요즘 대한민국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제외한 제 2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 같다. 다른 아시아 국가의 언어와 유럽 국가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서점에 잘 나타난다. 해가 지날수록 관련 언어에 대한 교재가 새로 출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어에 관한 교재는 아직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기초 혹은 왕기초를 위한 교재는 있지만 영어 교재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그래서 이탈리아어와 문화에 관한 글을 조금씩 올리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 포스팅이 그 첫 시작이다.
외국어 배움의 첫 걸음은 우리가 한글을 익히듯 그 나라의 글자를 쓰고 읽을 줄 아는 것부터 시작이다. 영어 알파벳을 쓸 줄 안다면 이탈리아 알파벳을 쓰는 것은 식은 죽 먹기다. 왜냐하면 이탈리아 알파벳은 영어의 알파벳에서 5자(j,k,w,x,y)가 빠진 21자로 5개의 모음과 16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발음은 다르기에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필요하며 영어 발음을 알고 있어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걱정하지 말자. 반복하고 익숙해지면 누구나 가능하다.
문자 | 명칭 | 문자 | 명칭 | ||||
A | a | a | 아 | N | n | enne | 엔네 |
B | b | bi | 비 | O | o | o | 오 |
C | c | ci | 취 | P | p | pi | ㅍ/ㅃ ㅣ |
D | d | di | 디 | Q | q | qu | ㅋ/ㄲ ㅜ |
E | e | e | 에 | R | r | erre | 에rrrㅔ |
F | f | effe | 에fㅔ | S | s | esse | 에쎄 |
G | g | gi | 쥐 | T | t | ti | ㅌ/ㄸ ㅣ |
H | h | acca | 악까 | U | u | u | 우 |
I | i | i | 이 | V | v | vu | ㅂ ㅡ/ㅜ |
L | l | elle | 엘레 | Z | z | zeta | 제 ㄸ/ㅌ ㅏ |
M | m | emme | 엠메 |
이탈리아 사람들은 ㄷ과 ㄸ의 발음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쌍자음의 소리 차이를 잘 구별하지 못하는데 이것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한글과 같은 소리를 내는 글이 없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다. 한국인들이 이탈리아어를 발음할 때도 마찬가지다. 한글로 발음을 표시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최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적었다. 예를 들면 F는 한글로 표기하면 '엣페'로 적을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발음할 경우 P처럼 들리기에 알파벳 F를 발음할 때처럼 아랫입술과 앞니를 살짝 닿았다가 떨어지며 나는 소리이다. 이 외에도 중간 정도의 발음이라고 생각한 것은 / 로 표시하였다. 위의 스물한 자에 이외에 어떤 고어나 특수한 소리 혹은 외래어 등을 표기하기 위해 다섯 자가 추가로 사용된다.
문자 | 명칭 | ||
J | j | i lunga | 이 룽가 |
K | k | cappa | 깝빠 |
W | w | doppia vu | 도삐아 부 |
X | x | ics | 익스 |
Y | y | ipsilon | 입실론 |
외국어를 습득할 때 실력을 빨리 향상 시키고 싶다면 정확한 발음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정확하게 읽고 그 발음을 말할 줄 알아야 들리기 때문이다. 유튜브 채널에 l'alfabeto italiano라고 검색하면 많은 영상이 나오니 참고하도록 하자.
'알쏭달쏭 이탈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여행자를 위한 생수 브랜드 Top 10 (1) | 2025.07.09 |
---|---|
100일 이탈리아어 단어 암기 챌린지 체크표 (0) | 2024.08.15 |
숨겨진 보석같은 우르비노 Urbino의 역사 문화 프레데리코 (0) | 2024.07.26 |
이탈리아의 통일 어려웠던 점 그 이후 (0) | 2024.07.25 |
이탈리아에서 마피아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1) | 2024.07.21 |